2절
-
나는 주를 알지도 못하니, 이스라엘을 보내지도 않겠다(출애굽기 5장 2절)엄마와말씀한구절 2024. 8. 19. 17:25
그러나 바로는 이렇게 대답하였다. “그 주가 누구인데, 나더러 그의 말을 듣고서, 이스라엘을 보내라는 것이냐? 나는 주를 알지도 못하니, 이스라엘을 보내지도 않겠다.” (출애굽기 5장 2절) 이스라엘 민족을 학대했던 나라는 애굽이에요. 애굽은 이집트입니다. 그 당시 애굽 왕은 바로였고 모세는 바로 왕에게 가서 이스라엘을 그만 학대하고 그들이 하나님을 섬길 수 있도록 놓아주라고 말했어요. 그랬더니 바로 왕은 위의 말씀처럼 자신은 하나님을 알지도 못한다고 말하면서 이스라엘을 보내줄 생각이 전혀 없다고 대답했어요. 아마도 바로 왕은 온 세상을 지으신 하나님을 전혀 몰랐나봐요. 그게 아니면 그는 하나님을 알면서도 이스라엘 백성들을 더욱 학대하고 싶어서 그들을 보내고 싶지 않았을 수도 있어요. 어찌되었던 바로 왕..
-
너의 아들, 네가 사랑하는 외아들 이삭을 데리고 모리아 땅으로 가거라. 내가 너에게 일러주는 산에서 그를 번제물로 바쳐라.(창세기 22장 2절)엄마와말씀한구절 2024. 8. 19. 17:21
하나님이 말씀하셨다. “너의 아들, 네가 사랑하는 외아들 이삭을 데리고 모리아 땅으로 가거라. 내가 너에게 일러주는 산에서 그를 번제물로 바쳐라.” 12 천사가 말하였다. “그 아이에게 손을 대지 말아라! 그 아이에게 아무 일도 하지 말아라! 네가 너의 아들, 너의 외아들까지도 나에게 아끼지 아니하니, 네가 하나님 두려워하는 줄을 내가 이제 알았다.” (창세기 22장 2, 12절) 오늘은 아브라함이 이삭을 하나님께 바치려고 했던 장면을 나누려고 해요. 아이를 낳을 수 없는 상황에 얻게 된 이삭은 아브라함에게 너무 귀한 아들이었어요. 그런데 갑자기 하나님께서는 이삭을 제물로 바치라고 말씀하십니다. 분명 하나님의 명령은 이해할 수 없는 것이었지만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명령이 내려진 즉시 이삭을 제물로 바치기 ..
-
[히브리어 원뜻성경(237)] 너희는 거룩하라 이는 나 여호와 너희 하나님이 거룩함이니라 (레위기 19장 2절)히브리어(구약성경) 2024. 7. 15. 18:15
קְדֹשִׁ֣ים תִּהְי֑וּ כִּ֣י קָדֹ֔ושׁ אֲנִ֖י יְהוָ֥ה אֱלֹהֵיכֶֽםYou shall be holy, for I the LORD your God am holy너희는 거룩하라 이는 나 여호와 너희 하나님이 거룩함이니라(레위기 19장 2절) 레위기의 주제와도 같은 구절이 바로 레위기 19장 2절입니다. 너희는 거룩하라, 이는 나 여호와 너희 하나님이 거룩함이니라. 하나님께서는 자신이 이스라엘의 하나님이심을 밝히시면서 거룩할 것을 명령하시는데요,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는 거룩이란 무엇일까요? 1. 너희는 거룩하라 왜냐하면거룩에 대해 알아 보기 전에 먼저 하나님께서 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거룩할 것을 명령하셨는지 아는 것이 필요합니다. "너희는 거룩하라"고 번역된 것이 사..
-
[히브리어 원뜻성경(222)] 속죄제 - 부지 중에 범하여(레위기 4장 2절)히브리어(구약성경) 2024. 3. 13. 17:35
כִּֽי־ תֶחֱטָ֤א בִשְׁגָגָה֙ If a person sins unintentionally 누구든지 그릇 범하였으되 (레위기 4장 2절) 속죄제는 번제 및 화목제와 방식이 유사합니다. 단, 이 속죄제는 강조하는 바가 조금 다른데 "의도하지 않게" 범죄한 죄에 대해서만 속죄가 적용되었습니다. 1. 그릇 행하여 레위기 4장에는 총 네 분류의 사람들(제사장, 회중, 족장, 평민)에 대한 속죄제 규례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앞의 두 그룹(제사장, 회중)과 뒤의 두 그룹(족장, 평민)은 피를 회막 안으로 가지고 들어갈 것인지에 따라 다시 구분됩니다(번제나 화목제는 피를 성소 안으로 가지고 들어가지 않았습니다). 아마도 이것은 각 그룹의 대표성에 따라 하나님 앞에 나아가야 할 지가 규정..
-
[히브리어 원뜻성경(219)] 여호와께 예물(고르반)을 드리려거든(레위기 1장 2절)히브리어(구약성경) 2024. 2. 16. 14:18
כִּֽי־ יַקְרִ֥יב מִכֶּ֛ם קָרְבָּ֖ן לַֽיהוָ֑ה When anyone of you brings an offering to the Lord 여호와께 예물을 드리려거든 (레위기 1장 2절) 레위기는 여호와께 드리는 예물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됩니다. 보통 그것은 제사로 표현되는데 가장 먼저 소개되는 것은 번제입니다. 예물과 번제는 각각 어떤 의미를 가지며 무슨 관계를 나타내고 있을까요? 1. 예물, 고르반 마가복음 7장 11절에는 "고르반"이라는 단어가 나옵니다. 해당 단어의 의미를 모르는 분들은 고르반이 특정한 명칭을 나타낸다고 생각할 지 모르겠습니다. 사실 고르반은 히브리어로 "예물"을 의미합니다. 레위기 1장 2절에 등장하는 "예물"의 히브리어는 קָרְבָּן(발음: 코..
-
[히브리어 원뜻성경(170)] 달의 시작 곧 해의 첫 달이 되게 하고 (출애굽기 12장 2절)히브리어(구약성경) 2023. 3. 23. 09:12
הַחֹ֧דֶשׁ הַזֶּ֛ה לָכֶ֖ם רֹ֣אשׁ חֳדָשִׁ֑ים רִאשֹׁ֥ון הוּא֙ לָכֶ֔ם לְחָדְשֵׁ֖י הַשָּׁנָֽה This month shall be the beginning of months for you; it is to be the first month of the year for you. 이 달을 너희에게 달의 시작 곧 해의 첫 달이 되게 하고 (출애굽기 12장 2절) 마지막 재앙이 내리기 전에 하나님께서는 한 가지 절기를 정하십니다. 그 절기는 유월절(Passover)입니다. 이 절기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애굽의 노예 생활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는 날이 될 것이며 유월절에 행해지는 여러 의식들은 그들의 삶에 많은 변화를 가져다 줄 것입니다. 1. 달의 ..
-
[히브리어 원뜻성경(120)] 두 쌍의 군대, 마하나임 (창세기 32장 2절)히브리어(구약성경) 2022. 11. 1. 10:20
וַיֹּ֤אמֶר יַעֲקֹב֙ כַּאֲשֶׁ֣ר רָאָ֔ם מַחֲנֵ֥ה אֱלֹהִ֖ים זֶ֑ה וַיִּקְרָ֛א שֵֽׁם־ הַמָּקֹ֥ום הַה֖וּא מַֽחֲנָֽיִם And when Jacob saw them he said This is God's host and he called the name of that place Mahanaim 야곱이 그들을 볼 때에 이르기를 이는 하나님의 군대라 하고 그 땅 이름을 마하나임이라 하였더라 (창세기 32장 2절) 다소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야곱은 드디어 본격적으로 고향 땅을 향해 힘찬 발걸음을 내딛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의 앞길을 하나님께서 보호하시겠다는 의미로 그 분의 천사들을 보내주셨습니다. 야곱은 이들을 만난 장소를 "마하나..
-
[히브리어 원뜻성경(109)] 보라! 우물, 양, 라헬 (창세기 29장 2절)히브리어(구약성경) 2022. 10. 17. 16:27
מִן־ הַבְּאֵ֣ר הַהִ֔וא יַשְׁק֖וּ הָעֲדָרִ֑ים וְהָאֶ֥בֶן גְּדֹלָ֖ה עַל־ פִּ֥י הַבְּאֵֽר And he looked and behold a well in the field and lo there were three flocks of sheep lying by it for out of that well they watered the flocks and a great stone was upon the well's mouth 본즉 들에 우물이 있고 그 곁에 양 세 떼가 누워 있으니 이는 목자들이 그 우물에서 양 떼에게 물을 먹임이라 큰 돌로 우물 아귀를 덮었다가 (창세기 29장 2절) 하나님의 약속을 믿고 하란으로 떠난 야곱은 드디어 동방 사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