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히브리어 원뜻성경(240)] 성회의 날이라 아무 일도 하지 말라 (레위기 23장 3절)히브리어(구약성경) 2024. 7. 29. 11:13
מִקְרָא־קֹ֔דֶשׁ כָּל־מְלָאכָ֖ה לֹ֣א תַעֲשׂ֑וּa holy convocation. You shall not do any work성회의 날이라 너희는 아무 일도 하지 말라(레위기 23장 3절)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백성들이 지켜야 할 다양한 절기에 대해 말씀하십니다. 각각의 절기들은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었는데요, 그것은 바로 성회로 모이고 아무 일도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1. 성회성회가 한자로 "거룩한 모임"을 의미한다는 것을 알 때 보통 하나님께서 정하신 절기가 거룩해야 함은 당연하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 "성회"의 원어를 보면 모임의 특징보다 그 단어에 담긴 하나님의 의도를 깊이 알 수 있습니다. "성회"는 히브리어로 מִקְרָא־קֹ֔דֶש..
-
[히브리어 원뜻성경(239)] 흠 있는 것은 드리지 말라 기쁘게 받으심이 되지 못하므로 (레위기 22장 20절)히브리어(구약성경) 2024. 7. 23. 09:02
כִּי־לֹ֥א לְרָצֹ֖ון יִהְיֶ֥ה לָכֶֽםfor it will not be accepted for you.그것이 기쁘게 받으심이 되지 못할 것임이니라(레위기 22장 20절) 누군가에게 감사의 선물을 준비할 때도 그 선물을 받는 사람의 마음을 고려합니다. 가능하다면 받는 사람이 좋아할 만한 것을 줄 때 선물이 의미있기 때문이죠. 만약에 받는 사람이 평소 싫어하던 것을 선물로 준다면 그것은 선물로서의 가치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하나님께 제물을 드릴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1. 흠 있는 것앞선 글에서는 제사장의 자손 중에 육체에 흠이 있는 자들은 성소에 가까이 할 수 없다는 것을 살펴 봤습니다. 어떠한 배경으로 흠을 얻었다고 할 지라도 예외는 없었습니다. 오늘 본문은 제물에 대해서도 동일..
-
[히브리어 원뜻성경(238)] 하나님의 음식을 드리는 자 (레위기 21장 6절)히브리어(구약성경) 2024. 7. 19. 09:31
לֶ֧חֶם אֱלֹהֵיהֶ֛ם הֵ֥ם מַקְרִיבִ֖םthey present the food of their God여호와의 음식을 드리는 자(레위기 21장 6절)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들뿐만 아니라 특별히 제사장들에게 하나님의 규례와 명령을 주셨습니다. 그들은 결혼에 있어서, 그리고 하나님께 제사를 드림에 있어서 흠이 없어야 했는데요. 그들이 이런 모습을 갖춰야 했던 이유는 그들이 하나님의 음식을 드리는 자였기 때문입니다. 1. 하나님의 음식을 드리는 자(?)성경은 "화제"를 하나님의 음식이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레 21:6). 하나님의 음식이라고 표현되었으니 누군가는 하나님께서 음식을 드시는가 생각할 지도 모릅니다. 실제로 고대 이방 민족들은 신이 음식을 먹는다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그런 ..
-
[히브리어 원뜻성경(237)] 너희는 거룩하라 이는 나 여호와 너희 하나님이 거룩함이니라 (레위기 19장 2절)히브리어(구약성경) 2024. 7. 15. 18:15
קְדֹשִׁ֣ים תִּהְי֑וּ כִּ֣י קָדֹ֔ושׁ אֲנִ֖י יְהוָ֥ה אֱלֹהֵיכֶֽםYou shall be holy, for I the LORD your God am holy너희는 거룩하라 이는 나 여호와 너희 하나님이 거룩함이니라(레위기 19장 2절) 레위기의 주제와도 같은 구절이 바로 레위기 19장 2절입니다. 너희는 거룩하라, 이는 나 여호와 너희 하나님이 거룩함이니라. 하나님께서는 자신이 이스라엘의 하나님이심을 밝히시면서 거룩할 것을 명령하시는데요,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는 거룩이란 무엇일까요? 1. 너희는 거룩하라 왜냐하면거룩에 대해 알아 보기 전에 먼저 하나님께서 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거룩할 것을 명령하셨는지 아는 것이 필요합니다. "너희는 거룩하라"고 번역된 것이 사..
-
[히브리어 원뜻성경(236)] 너희는 내 규례와 법도를 지키라 나는 여호와이니라 (레위기 18장 5절)히브리어(구약성경) 2024. 7. 3. 13:38
וּשְׁמַרְתֶּ֤ם אֶת־חֻקֹּתַי֙ וְאֶת־מִשְׁפָּטַ֔יyou shall keep My statutes and My judgments너희는 내 규례와 법도를 지키라(레위기 18장 5절) 약속의 땅에 들어간다는 것은 축복인 동시에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의무를 행할 책임도 가지는 것이었습니다. 하나님의 백성으로 살아야 할 의무 중 하나는 거룩함을 지키는 것이었는데요, 거룩함을 유지하는 것은 오직 하나님의 규례와 법도를 지킴으로써만 가능했습니다. 1. 규례와 법도성경에 기록된 몇 가지 단어들은 의미가 비슷한 것으로 여겨져 그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만 생각되곤 합니다. 그런 단어들 중 하나가 "규례와 법도"입니다. 일반적으로 이 단어를 마주할 때 "하나님의 명령들"이라고만..
-
[히브리어 원뜻성경(235)] 육체의 생명은 피에 있음이라 (레위기 17장 11절)히브리어(구약성경) 2024. 6. 24. 10:25
נֶ֣פֶשׁ הַבָּשָׂר֮ בַּדָּ֣ם הִוא֒the life of the flesh is in the blood육체의 생명은 피에 있음이라(레위기 17장 11절) 보통 대속(atonement)를 말하기 위해 레위기 17장 11절을 인용하지만 사실 이 구절은 "피를 먹지 말라"는 하나님의 명령의 근거를 말하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창세기 9장 4절부터 피를 먹지 말라고 말씀하셨는데요, 피를 먹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기에 하나님께서는 이렇게 엄히 금하셨을까요? 1. 육체의 생명은 피에 있기 때문이다조금 어려워도 레위기 17장 11절은 히브리어 구문 분석을 하는 것이 유익합니다. 먼저 "육체의 생명은 피에 있음이라"에 해당하는 구절은 이유를 나타내는 접속사 כִּ֣י(발음: 키)로 시작합니다..
-
[히브리어 원뜻성경(234)] 아사셀을 위하여 (레위기 16장 8절)히브리어(구약성경) 2024. 6. 18. 13:03
לַעֲזָאזֵֽלfor the scapegoat.아사셀을 위하여(레위기 16장 8절) 아론의 두 아들이 하나님 앞, 곧 지성소에 나아가다가 죽음을 당한 이후 하나님께서는 속죄일을 지정하십니다. 아마도 그들이 하나님 앞에 부지 중에 나아갔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는데요, 거룩하신 하나님 앞에 죄악된 모습으로 나아가는 것은 허락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생명을 잃는 일이었기 때문에 그들의 생명을 위한 경고가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모든 죄를 용서하시는 속죄일을 지정하시며 자신에게 나아올 때 해야 할 일들을 명령하십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속죄를 위한 모든 절차를 따라야 하는 것입니다. 1. 속죄의 대상일반적으로 속죄의 대상은 이스라엘 백성에 국한될 것으로 생각되지만 사실 속죄일의 대상에 성..
-
[히브리어 원뜻성경(233)] 살아 있는 새는 들에 놓을지며 (레위기 14장 7절)히브리어(구약성경) 2024. 6. 3. 09:09
וְשִׁלַּ֛ח אֶת־הַצִּפֹּ֥ר הַֽחַיָּ֖ה עַל־פְּנֵ֥י הַשָּׂדֶֽהHe shall let the live bird go free over the open field 살아 있는 새는 들에 놓을지며(레위기 14장 7절) 한 번 나병에 걸렸다고 해서 영원히 이스라엘 공동체에서 격리되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것은 공동체를 거룩하게 유지하는 것이지 죄인을 아예 끊어버리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나병에 걸린 사람들이 다시 공동체 안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규례를 정하셨습니다. 그 규례에는 정결한 새 두 마리가 필요했습니다. 1. 하나는 흐르는 물 위에서 잡고제사장이 진영 밖으로 나가서 나병 환부가 나았는지 확인한 후 병이 나았다고 판단되면 회복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