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절
-
[히브리어 원뜻성경(213)] 질투라 이름하는 질투의 하나님(출애굽기 34장 14절)히브리어(구약성경) 2024. 1. 24. 09:05
יְהוָה֙ קַנָּ֣א שְׁמֹ֔ו אֵ֥ל קַנָּ֖א the Lord, whose name is Jealous, is a jealous God 질투라 이름하는 질투의 하나님 (출애굽기 34장 14절) 여호와 이레, 여호와 닛시 등 하나님께서는 다양한 이름을 갖고 계십니다. 하나님의 이름은 하나님의 속성을 나타내는데요, 하나님께서는 스스로를 "질투의 하나님"이라 선포하시며 자신의 이름을 "질투"라고 하십니다. 질투라는 단어는 긍정적인 단어는 아닐 텐데요, 하나님께서는 어떤 의도로 자신을 질투의 하나님이라고 부르신 것일까요? 1. 질투 질투는 자신과 타인을 비교하는 데에서 비롯되는 감정입니다. 그리고 사전적 의미를 빌리면 질투는 남을 부러워하는 마음에서 생겨나는데요, 특히 자신이 갖지 못한 것을..
-
[히브리어 원뜻성경(206)] 여호와께서 뜻을 돌이키사(출애굽기 32장 14절)히브리어(구약성경) 2023. 10. 16. 09:50
וַיִּנָּ֖חֶם יְהוָ֑ה עַל־ הָ֣רָעָ֔ה the LORD relented of the harm 여호와께서 뜻을 돌이키사 (출애굽기 32장 14절) 산에서 언제 내려올지 모르는 모세를 더 이상은 기다릴 수 없었던 이스라엘. 그들은 끝내 금송아지 우상을 만들었고 그것을 애굽에서 인도하여 낸 신이라고 말합니다. 분노하신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땅에서 진멸하고 모세를 통해 새로운 민족을 세우고자 하십니다. 그러나 모세의 간청에 따라 하나님께서는 "뜻을 돌이키셨습니다." 모든 것을 자신의 뜻대로 하실 수 있는 여호와 하나님께서 어떻게 모세의 간청에 마음을 돌리신 것일까요? 1. 그(모세)의 하나님 출애굽기 32장 7절부터 14절까지 상당히 유의미한 소유격 표현들이 등장합니다. 먼저 하나님께서는..
-
[히브리어 원뜻성경(201)] 불사르고, 불사르라(출애굽기 29장 13 ~ 14절)히브리어(구약성경) 2023. 8. 30. 09:08
וְהִקְטַרְתָּ֖ הַמִּזְבֵּֽחָה offer them up in smoke on the altar. 제단 위에 불사르고 תִּשְׂרֹ֣ף בָּאֵ֔שׁ burn with fire 불사르라 (출애굽기 29장 13 ~ 14절) 대제사장도 사람이므로 자신의 죄를 위해 속죄제를 드려야 했습니다. 속죄제의 희생제물 중 하나는 수송아지였는데 이 희생제물은 두 장소에서 불에 태워졌습니다. 1. 제단 위에 불사르고 출애굽기 29장 13 ~ 14절에는 희생제물로 사용되는 수송아지의 육체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 지에 대해 기록되어 있습니다. "내장에 덮인 모든 기름과 간 위에 있는 꺼풀과 두 콩팥과 그 위의 기름"은 제단 위에 불사르고 "수소의 고기와 가죽과 똥"은 진 밖에서 불살라야 했습니다. 개역..
-
[히브리어 원뜻성경(192)] 무교절, 맥추절, 수장절 (출애굽기 23장 14절)히브리어(구약성경) 2023. 6. 29. 09:21
שָׁלֹ֣שׁ רְגָלִ֔ים תָּחֹ֥ג לִ֖י בַּשָּׁנָֽה Three times a year you shall celebrate a feast to Me. 너는 매년 세 번 내게 절기를 지킬지니라 (출애굽기 23장 14절) 여호와께서는 일년에 세 번 절기를 지키라고 명령하십니다. 각 절기의 이름은 무교절, 맥추절, 수장절입니다. 1. 무교절 출애굽기 23장 14절부터 세 가지 절기에 대한 설명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첫번째 절기는 무교절인데 히브리어로는 חַ֣ג הַמַּצֹּות֮(발음: 하그 함맛초트)로 "절기"를 의미하는 חַג(발음: 하그)와 "무교병"을 의미하는 מַצָּה(발음: 맛차)의 합성어입니다. 무교병은 누룩이 없는 빵으로 이스라엘 백성들이 출애굽 하는 날 먹었던 음식..
-
[히브리어 원뜻성경(165)] 땅에서 악취가 나더라(출애굽기 8장 14절)히브리어(구약성경) 2023. 3. 2. 09:08
וַתִּבְאַ֖שׁ הָאָֽרֶץ the land stank 땅에서 악취가 나더라 (출애굽기 8장 14절) 모세가 바로에게 이스라엘 백성들을 보내라고 했을 때 바로는 그들의 노역을 더욱 무겁게 했습니다. 이런 상황을 이스라엘 백성들은 바로 앞에서 자신들로 악취가 나게 했다고 말했는데요, 악취가 난다는 것이 무엇인지 하나님께서는 두 가지 이적을 통해 바로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나타내십니다. 1. 그 물에서는 악취가 나니 이스라엘 백성들을 내보내지 않는 바로에게 내려진 첫번째 재앙은 물이 피로 변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재앙은 단지 물이 피가 된다는 것에 의미를 두지 않고 그렇게 됨으로써 물이 필요한 생명들이 물을 마시지 못한다는 데에 그 중요성이 있습니다. 실제로 물이 피가 됨으로써 나일 강의 고기가 ..
-
[히브리어 원뜻성경(159)] 나는 스스로 있는 자이니라(출애굽기 3장 14절)히브리어(구약성경) 2023. 2. 13. 11:06
אֶֽהְיֶ֖ה אֲשֶׁ֣ר אֶֽהְיֶ֑ה I AM WHO I AM 나는 스스로 있는 자이니라 (출애굽기 3장 14절) 애굽의 노예 생활로부터 이스라엘 백성들을 구원하시기 위해 하나님께서는 모세를 선택하셨습니다. 그러나 모세는 자신이 그런 일을 하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는 분명 아무 능력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전능하신 하나님께서는 그와 함께 하실 것을 약속하셨습니다. 1. 내가 누구이기에 모세는 자신이 이스라엘 백성들을 구원할 적임자가 아니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는 하나님께 "내가 누구이기에" 애굽으로부터 그들을 인도해낼 수 있겠냐고 물었습니다. 이 질문은 히브리어로 מִ֣י אָנֹ֔כִי(발음: 미 아노키)입니다. 두 단어로 된 간단한 문장을 통해 그가 자신의 부족함에 대해 확..
-
[히브리어 원뜻성경(157)] 누가 너를 우리를 다스리는 자와 재판관으로 삼았느냐(출애굽기 2장 14절)히브리어(구약성경) 2023. 2. 7. 09:55
מִ֣י שָֽׂמְךָ֞ לְאִ֨ישׁ שַׂ֤ר וְשֹׁפֵט֙ עָלֵ֔ינוּ Who made you a ruler and a judge over us? 누가 너를 우리를 다스리는 자와 재판관으로 삼았느냐 (출애굽기 2장 14절) 바로의 딸에게 입양되었지만 모세는 어머니를 통해 자신의 민족 정체성에 대해 교육을 받았을 것입니다. 그는 자기 민족, 곧 이스라엘 백성들의 안위를 걱정했고 그들이 당하고 있는 노역에 대해 슬퍼했습니다. 그러나 모세는 순간의 잘못된 판단으로 자신의 좋은 뜻이 훼손되는 위기를 맞이합니다. 1. 자기 형제를 치는 것을 본지라 모세는 언제나 이스라엘 백성들을 자기 형제라고 생각했습니다. 성경도 모세가 스스로 갖고 있는 생각을 드러내기 위해 히브리어 אֶחָ֔יו(발음: 에하..
-
[히브리어 원뜻성경(113)] 합환채를 청구하노라 (창세기 30장 14절)히브리어(구약성경) 2022. 10. 22. 16:58
וַיֵּ֨לֶךְ רְאוּבֵ֜ן בִּימֵ֣י קְצִיר־ חִטִּ֗ים וַיִּמְצָ֤א דֽוּדָאִים֙ בַּשָּׂדֶ֔ה וַיָּבֵ֣א אֹתָ֔ם אֶל־ לֵאָ֖ה אִמֹּ֑ו וַתֹּ֤אמֶר רָחֵל֙ אֶל־ לֵאָ֔ה תְּנִי־ נָ֣א לִ֔י מִדּוּדָאֵ֖י בְּנֵֽךְ And Reuben went in the days of wheat harvest and found mandrakes in the field and brought them unto his mother Leah Then Rachel said to Leah Give me I pray thee of thy son's mandrakes 밀 거둘 때 르우벤이 나가서 들에서 합환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