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어(구약성경)

[히브리어 원뜻성경(156)] 그의 이름을 모세라 하여 이르되 이는 내가 그를 물에서 건져내었음이라(출애굽기 2장 10절)

다니엘e 2023. 2. 6. 10:36
וַתִּקְרָ֤א  שְׁמֹו֙  מֹשֶׁ֔ה  וַתֹּ֕אמֶר  כִּ֥י  מִן־  הַמַּ֖יִם  מְשִׁיתִֽהוּ
 And she called his name Moses and she said Because I drew him out of the water
그의 이름을 모세라 하여 이르되 이는 내가 그를 물에서 건져내었음이라 하였더라 
(출애굽기 2장 10절)

 

아들이 태어나면 나일 강에 던지라는 왕의 무서운 명령이 떨어졌습니다. 곳곳에서 많은 아들들이 나일 강에 버려졌고 비참한 상황 속에 슬픔의 통곡이 들려 옵니다. 그 때 레위 지파 한 여인은 자신의 아이를 차마 버릴 수 없어 석달 동안 숨깁니다. 그러나 더 이상 숨길 수 없게 된 그녀는 그 아기를 나일 강 갈대 사이에 둡니다. 그의 구원을 바라면서...

 

1. 갈대 상자를 가져다가 역청과 나무 진을 칠하고

그녀가 아기를 나일 강에 버리지 않았다는 것은 아기를 위해 만든 갈대 상자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이 갈대 상자는 홍수 속에서 구원을 얻은 노아의 방주를 생각나게 하는데요, 이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노아의 방주와 갈대 상자가 몇 가지 유사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먼저 출애굽기 2장 3절에 아기를 갈대 "상자"에 담았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상자"는 히브리어로 תֵּבָה(발음: 테바)인데 창세기 6장에서 하나님께서 노아에게 만들라고 명령하신 방주와 동일한 단어입니다. 그래서 KJV(킹제임스버전)은 이 단어를 "ark"(방주)라고 번역했습니다. 그리고 그녀는 이 갈대 상자에 "역청"과 "나무 진"을 칠했습니다. 창세기 6장 14절에서 하나님께서는 노아에게 방주를 만든 후 역청으로 그 안팎을 칠하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창세기 6장 14절의 "역청"은 히브리어로 כֹּפֶר(발음: 코페르)인데 "덮다"는 의미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아 방주에 물이 새지 않도록 사용된 물질임이 틀림없습니다. 갈대 상자에 사용된 "역청"은 히브리어로 זֶפֶת(발음: 제페트)인데 노아의 방주에 사용된 단어와 마찬가지로 pitch(역청)으로 번역되었습니다. 그녀가 노아의 방주 이야기를 알고 있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갈대 방주를 만들고 역청을 발랐다는 것은 아이를 버린 것이 아니라 누군가로부터 건짐을 받기를 간절히 바란 행위였음이 분명합니다. 그리고 그녀의 바람대로 그 아기는 바로의 딸에 의해 구원을 받게 됩니다.

 

2. 모세 - 내가 그를 물에서 건져내었음이라

자신의 동생이 어떻게 될 것인지 지켜보고 있던 아기의 누나는 바로의 딸이 자신의 아기를 물에서 건져낸 것을 보았습니다. 기회를 놓치지 않고 즉각 바로의 딸에게 달려가 유모를 구해오겠다고 제안하고 극적으로 아기와 엄마는 재회합니다. 바로의 딸은 나일 강에서 그 아기를 건져 내었기에 그의 이름을 "모세"라고 부릅니다. 모세는 히브리어로 משֶׁה(발음: 모쉐)인데 "끌어내다, 구하다"는 의미의 מָשָׁה(발음: 마샤흐)에서 파생되었습니다. 그의 이름의 의미는 "건짐, 구함"입니다. 자신이 물에서 건짐을 받았기에 모세가 되었지만 그의 이름이 능동분사형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그는 누군가를 건지고 구원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노아의 방주에 탄 자들이 구원을 받은 것처럼 엄마의 방주에 탄 모세가 구원을 받았습니다. 하나님께서는 두 가지 유사한 이야기를 기록함으로써 죽음과 생명, 그리고 그 사이를 결정짓는 구원의 방법에 대해 말씀하시려는 것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하나님께서는 방주와 같이 안전하게 구원받을 수 있는 길을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계획하시고 완벽히 이루셨습니다. 구원의 길을 알고 그 안에 머무는 자로 나는 어떠한 삶을 살고 있는 돌아보게 됩니다. 구원받은 자로 남을 구원하는 자, 곧 משֶׁה(발음: 모쉐)가 되길 기도합니다.